본문 바로가기

엘에스 일렉트릭 주가 전망 재무 분석 25.4

nyseinsight 2025. 4. 19.

 

엘에스 일렉트릭 주가 전망 재무 분석

LS ELECTRIC(엘에스 일렉트릭, 종목코드: 010120)은 대한민국 산업용 전기 및 자동화 솔루션 분야의 선도 기업 중 하나로, 그 행보에 많은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의 실적 성장과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면서 변동성을 보여왔는데요. 과연 2025년 현시점에서 LS ELECTRIC의 투자 매력도는 어떠할지, 심층적인 재무 분석과 함께 주가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LS ELECTRIC - 기업 개요 및 현황

핵심 사업 영역 -

LS ELECTRIC은 크게 전력 시스템과 자동화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력기기, 송배전 시스템 등 국가 기간 산업의 근간이 되는 전력 인프라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수적인 산업 자동화 제어 기기 및 시스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경쟁력과 직결되는 분야라 할 수 있겠습니다!

현재 주가 및 시장 위치 -

2025년 4월 4일 기준으로 LS ELECTRIC의 주가는 171,500원을 기록하며 전일 대비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1개월 수익률은 -31.54%로 단기적인 조정을 겪는 모습인데요?! 반면, 지난 1년간의 수익률은 +61.79%로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보여주었습니다.

52주 최고가는 303,500원, 최저가는 105,500원으로 변동폭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5조 1,450억원 수준이며, 외국인 지분율은 23.40%로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주가 핵심 데이터 - (2025.04.04 기준)

  • 현재가: 171,500원
  • 52주 최고가: 303,500원
  • 52주 최저가: 105,500원
  • 시가총액: 5조 1,450억원
  • 외국인 지분율: 23.40%
  • 1년 수익률: +61.79%
  • 1개월 수익률: -31.54%

주요 주주 구성 -

LS ELECTRIC의 최대 주주는 지주회사인 (주)LS로, 48.46%의 지분을 보유하여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국민연금공단이 8.79%, The Capital Group Companies, Inc. 등이 5.86%의 지분을 보유하며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과 신뢰를 반영하는 부분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주주명 지분율(%) 비고
(주)LS 10.13%

배당 정책 및 주주 환원 -

LS ELECTRIC은 꾸준히 배당을 실시하며 주주 환원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2024년 결산 기준 주당 배당금(DPS)은 2,900원으로, 당시 주가 기준 현금배당수익률은 1.69%였습니다.

2025년 예상 DPS는 3,188원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예상 배당수익률은 1.86% 수준입니다.

배당 성향 자체는 높지 않지만, 이익 증가에 따라 배당금 규모도 점진적으로 늘려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배당 지표 2024년 2025년(E)
주당 배당금(DPS) 2,900원 3,188원
현금배당수익률 1.69% 1.86%

재무 안정성 (부채비율, 유동성) -

재무 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은 2023년 116.52%에서 2024년 137.30%로 다소 상승했습니다. 이는 성장 과정에서의 투자 확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5년 예상 부채비율은 114.00%로 다시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역시

2022년 일시적인 마이너스(-1,454억 원)를 기록했으나, 2023년 2,146억 원, 2024년 2,301억 원으로 견조한 흐름을 회복했으며

2025년에는 3,872억 원으로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안정적인 사업 운영 및 투자 재원 확보 능력을 시사합니다.

현금흐름 개선 추이 -

  • 영업활동 현금흐름(2022년): -1,454억 원
  • 영업활동 현금흐름(2023년): 2,146억 원
  • 영업활동 현금흐름(2024년): 2,301억 원
  • 영업활동 현금흐름(2025년E): 3,872억 원

주요 재무 지표 (PER, PBR) -

2024년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21.55배,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77배입니다.

이는 동종 업종 평균 PER(27.03배) 대비 소폭 낮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2025년 예상 실적 기준 Forward PER은 16.04배, PBR은 2.43배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 예상 PER은 12.50배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향후 이익 성장을 감안할 때 현재 주가 수준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점차 완화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밸류에이션 2024년 2025년(E) 2026년(E)
PER 21.55배 16.04배 12.50배
PBR 2.77배 2.43배 2.13배

재무 건전성 심층 분석

매출 및 이익 성장 추이 -

 

LS ELECTRIC의 재무 성과는 매우 인상적입니다.

2022년 3조 3,771억 원이었던 매출액은

2023년 4조 2,305억 원(전년 대비 +25.27%),

2024년에는 4조 5,518억 원(전년 대비 +7.60%)으로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 역시

2022년 1,875억 원에서

2023년 3,249억 원(+73.25%),

2024년 3,897억 원(+19.96%)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증권사 컨센서스에 따르면 이러한 성장 기조는 2025년에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2025년 예상 매출액은 5조 571억 원(+11.10%), 영업이익은 4,699억 원(+20.58%)에 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더 나아가 2026년에는 매출 5조 6,987억 원, 영업이익 5,772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지배주주 기준) 역시 2022년 903억 원에서 2024년 2,387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2025년에는 3,208억 원(+34.40%), 2026년에는 4,116억 원(+28.27%)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매출액 3조 3,771억 4조 2,305억
(+25.27%)
4조 5,518억
(+7.60%)
5조 571억
(+11.10%)
5조 6,987억
(+12.69%)
영업이익 1,875억 3,249억
(+73.25%)
3,897억
(+19.96%)
4,699억
(+20.58%)
5,772억
(+22.83%)
당기순이익
(지배)
903억 2,238억
(+147.84%)
2,387억
(+6.66%)
3,208억
(+34.40%)
4,116억
(+28.27%)

수익성 지표 (ROE, 영업이익률) -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괄목할 만한 개선세를 보였습니다.

2022년 5.95%였던 ROE는 2023년 12.61%, 2024년 13.44%로 상승했습니다.

향후 컨센서스는 2025년 16.30%, 2026년 18.30%까지 ROE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

주주 가치 제고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영업이익률 또한 2022년 5.55%에서 2024년 8.56%, 2025년(E) 9.29%로 점진적인 개선이 기대됩니다.

ROE 5.95% 12.61% 13.44% 16.30% 18.30%
영업이익률 5.55% 7.68% 8.56% 9.29%

2025년 이후 주가 전망 및 투자 포인트

증권사 컨센서스 및 목표 주가 -

LS ELECTRIC을 분석하는 17개 증권사의 투자의견 컨센서스는 4.00으로 '매수' 의견에 가깝습니다.

평균 목표 주가는 286,824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상당한 상승 여력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최근 NH투자증권(31만 원), 흥국증권(27만 원), 상상인증권(32만 원), IBK투자증권(28만 원), KB증권(28만 원) 등

다수의 증권사가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의 시각은 대체로 긍정적인 것 같습니다.

주요 증권사 목표주가 현황 -

  • NH투자증권: 310,000원 (매수)
  • 상상인증권: 320,000원 (매수)
  • IBK투자증권: 280,000원 (매수)
  • KB증권: 280,000원 (매수)
  • 흥국증권: 270,000원 (매수)
  • 평균: 286,824원 (현재가 대비 +67.2%)

성장 동력 - 무엇을 주목해야 하는가?

 

  • 북미 시장에서의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 수혜: 미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 법안(IRA 등) 시행으로 노후 전력망 교체 및 신재생에너지 연계 수요가 증가하면서 LS ELECTRIC의 변압기, 배전반 등 주력 제품 수출이 호조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글로벌 데이터센터 및 AI 투자 확대: 이는 막대한 전력 공급 인프라를 필요로 하므로, LS ELECTRIC의 전력 시스템 부문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공장 자동화 및 스마트 팩토리 전환 가속화: 자동화 솔루션 부문의 성장을 견인할 핵심 동력입니다.
  •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ESS) 수요 증가: 관련 전력 시스템 수요 증가도 빼놓을 수 없는 성장 모멘텀입니다.

투자 시 고려 사항 (리스크 요인) -

  •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기업들의 설비 투자를 위축시켜 LS ELECTRIC의 수주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구리 등 주요 원자재 가격 변동성: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 전력기기 및 자동화 시장의 경쟁 심화 가능성: 국내외 경쟁사들과의 경쟁 격화는 마진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주가 변동성 확대 가능성: 최근 주가의 단기 급락에서 볼 수 있듯이, 시장 상황 및 수급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부분입니다.
구분 내용
성장 동력 - 북미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
- 데이터센터 및 AI 인프라 구축 수혜
- 공장 자동화 및 스마트 팩토리 전환
-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ESS 수요 증가
리스크 요인 -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 주요 원자재 가격 변동성
- 경쟁 심화 가능성
- 주가 변동성 확대

종합 결론 및 투자 전략 제언

 

LS ELECTRIC은 견조한 실적 성장세를 바탕으로 북미 시장 공략,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스마트 팩토리 전환 등 명확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개선되는 수익성(ROE)과 긍정적인 증권사 컨센서스는 투자 매력을 더하는 요인입니다.

2025년 이후 예상 실적 기준으로는 밸류에이션 부담도 점차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 확대 가능성과 글로벌 경기 및 원자재 가격 변동 등 리스크 요인도 상존합니다.

따라서 투자 결정 시에는 이러한 기회 요인과 위험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장기적인 성장 스토리에 주목하는 투자자라면 분할 매수 관점에서 접근하는 전략도 유효할 수 있습니다

댓글